“기술 자립화·규제 유연화로 성장동력 키운다”
UAM·드론 업계 간담회 열고 민관 원팀 구축…美 드론 행정명령에 대응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정부가 미래 모빌리티 산업으로 주목받는 도심항공교통(UAM)과 드론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민관 협력체계를 본격 가동한다. 핵심 기체와 부품의 기술 자립화, 유연한 규제 환경 조성, 전문 인력 양성 등을 통해 산업 생태계를 전방위로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기획재정부 신성장전략기획추진단은 19일 항공안전기술원에서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국방부, 우주항공청 등 관계 부처 및 민간 기업과 함께 UAM 및 드론 산업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우리나라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경쟁력을 진단하고, 업계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UAM은 도심 교통 혼잡과 환경 문제를 해결할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다. 2040년까지 세계 시장은 6090억달러(약 838조원), 국내 시장은 13조원 규모로 연평균 30%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우리나라는 배터리와 ICT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기체 개발과 자율비행 기술 분야에서는 여전히 격차를 좁혀야 하는 상황이다.
드론 산업 또한 농업, 건설, 물류,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물류배송 분야는 핵심 성장 영역으로 꼽힌다. 그러나 국내 드론 기업 다수가 영세하고, 기체 부품의 외산 의존도가 높은 것이 현실이다.
정부는 이미 K-UAM 로드맵(2020년 6월),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2022년 9월) 등을 통해 대규모 실증사업, 연구개발(R&D), 규제 특례 등을 추진 중이며, 드론산업은 드론 실증도시 조성(2018년~), 드론산업 얼라이언스 발족(2025년 5월)을 통해 개발부터 수출까지 전 주기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민간 협의체에 참여한 기업들이 ▷핵심 기체 및 부품 기술 자립화 투자 확대 ▷규제 환경 유연화 ▷전문인력 양성 ▷실증화 지원 등을 건의했다. 협의체에는 대한항공(운항), UAM-KAI(기체), KT(통신), 간삼건축(인프라), 브이스페이스(R&D), 버티(실증), 드론-유비파이(군집드론), 볼로랜드(부품), 메이사(활용기술) 등이 참여했다.
신상훈 추진단장은 “UAM과 드론은 미래를 바꿀 친환경 기술의 결정체”라며 “정부는 기술개발, 인프라 구축, 제도 정비, 인재 양성 등 전후방 산업을 아우르는 지원을 통해 대한민국이 글로벌 미래 모빌리티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회의는 지난 6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드론·eVTOL(전기동력 수직이착륙기) 행정명령을 발동해 산업 재편과 탈중국 공급망 재구축, 규제 완화 등을 추진한 직후에 열려 더욱 주목된다. 정부는 글로벌 변화에 발맞춰 국내 산업의 기회를 넓히는 데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fact0514@heraldcorp.com